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폭염+미세먼지, 심장에 치명적…심근경색 발생 두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최근 전세계가 이상고온 현상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폭염과 대기오염이 합쳐질 경우 심장에 치명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두 배로 증가했는데 특히 여성과 노인들이 취약했다.중국 중산대학교 공중보건대 역학과 루이쥔쉬(Ruijun Xu) 교수 등이 진행한 폭염 및 공기 오염의 심근 경색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Circulation에 24일 게재됐다(doi.org/10.1161/CIRCULATIONAHA.122.063504).자료사진폭염과 한파를 포함한 극한의 온도 변화는 심근경색(MI) 발병률과 관련이 있지만, MI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미세먼지(PM 2.5)도 심혈관 관련 사망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극한의 온도 변화 및 PM 2.5가 MI 사망에 상호 작용하는지 여부 및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진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장쑤성에서 20만 2678명의 MI 사망자를 대상으로 시간 계층화된 사례 교차 연구를 수행해 극한의 온도 변화 및 PM 2.5 발생과 MI 사망률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그 상호 작용 효과를 평가했다.일일 온도 및 PM 2.5 노출은 각 피험자의 주거 주소에서 검증된 그리드 데이터 세트에서 값을 추출해 평가했고,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적용 노출-반응 분석을 수행하고 교차작용에 기인하는 비율 및 시너지 지수로 인한 발생 확률(Odds ratio)을 추정했다.분석 결과 폭염과 한파와 관련된 MI 사망률의 오즈비는 각각 1.18~1.74, 1.04~1.12 범위로 특히 폭염의 사망 위험 증가 폭이 더 컸다.치명적인 MI의 발생 위험은 열 지수가 90백분위수(28.1~36.6℃) 이상인 2일 폭염 동안 18% 더 높았고 열 지수가 97.5번째 백분위수(34.9~43℃) 4일 이상인 경우 74% 더 높았다.PM 2.5의 노출 또한 MI 사망률의 증가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는데 폭염과 미세먼지가 합쳐질 경우 일반적으로 강도가 더 크고 지속 시간이 더 긴 폭염에서 사망률이 더 높았다.치명적인 MI의 위험은 PM 2.5가 37.5µg/m³ 이상인 4일의 폭염 기간 동안 두 배 더 높았지만 한파 기간 동안에는 PM 2.5 수치가 높아도 MI 위험이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지 않았다.사망 위험은 폭염 기간 동안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높았고 젊은 성인보다 80세 이상의 성인에서 더 높았다.연구진은 "이번 분석 결과 폭염과 PM 2.5 대한 노출이 여성과 노인의 MI 사망률 증가와 유의하게 관련돼 있지만 한파는 그렇지 않다는 일관된 증거를 제공한다"며 "대기오염 및 이상고온의 노출을 피하는 것이 MI로 인한 조기 사망을 예방하는 데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2023-08-01 12:04:32학술

미세먼지-심혈관질환 연관…10μg 증가 시 사망위험 3%↑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전세계적으로 대도시의 미시먼지 발생 현상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대기 오염과 심혈관계질환 질환 발생 위험에 대한 의학계의 검증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주요 대도시에서 대기 오염 발생 시 심장마비나 뇌졸중 위험 증가가 관찰된 가운데 다른 연구에선 초미세먼지 농도와 사망 발생 위험의 연관성이 나타났다.19일 의학계에 따르면 대도시의 대기 오염 증가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자료사진먼저 유럽심장학회의 예방심장학(ESCPrev2023) 분과는 13일 대기 질과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을 추적, 대기 오염이 강력한 질환 위험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했다.해당 연구는 대기 오염과 전반적인 심혈관질환 및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허혈성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연구는 폴란드 동부의 5개 도시에서 진행됐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사망률 데이터는 중앙 통계청에서 입수했다.초미세먼지(PM 2.5), 미세먼지(PM 10) 및 이산화질소(NO2)의 농도는 환경보호 단체(Voivodeship Inspectorat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에서 수집했다. 해당 오염 물질은 차량 교통과 석탄이나 목재를 사용하는 가정용 난방에서 주로 기인한다.연구는 요일로 계층화해 각 참가자의 사망이 발생한 요일의 각 오염 물질 수준을 사망자가 없는 요일의 오염 물질 수준과 비교했다. 특히 사망이 발생하기 하루 전과 이틀 전의 오염 수준에 대해서도 유사한 분석이 수행됐다.5년간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총 8만 7990명이 사망했으며 각각 심혈관질환으로 3만 4907명,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9788명, 허혈성 뇌졸중으로 3776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분석 결과 PM 2.5, PM 10 및 NO2가 10μg/m3 증가할 때마다 전반적인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각각 3%, 3%, 8% 증가했습니다.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은 대기 오염 발생 하루, 이틀 후에도 비슷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PM 2.5 및 PM 10이 10μg/m3 증가하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인한 당일 사망 위험이 각각 3%, 2% 증가했다.PM 2.5, PM 10 및 NO2의 10μg/m3 증가는 다음날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사망할 위험이 각각 3%, 3% 및 4%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PM 2.5가 10μg/m3 증가하면 다음날 사망 위험이 3% 증가했다.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심장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대기 질 예측에 따라 야외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집에 머물 수 없는 경우 오염이 가장 심한 시간대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교통량이 많은 지역을 피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결론내렸다.13일 국제학술지 NEJM에 발표된 대기오염과 사망률 연관성 연구 결과(DOI: 10.1056/NEJMsa2300523)도 비슷한 시사점을 나타냈다.미국 보스톤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 케빈 P. 조시 박사 등 연구진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 65세 이상 7300만 명으로부터 6억 2300만 인년의 메디케어 데이터를 분석, 인종과 소득 수준 등 하위 집단에서 연간 PM 2.5 노출과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을 추정했다.분석 결과 PM 2.5 노출을 줄일수록 전체 인구의 낮은 사망률이 감소하는 등 PM 2.5 수준 감소량에 따라 혜택 정도도 바뀌었다.PM 2.5 노출을 12μg/m3에서 6μg/m3로 낮추는 것은 사망 위험 비율 감소와 관련이 있었는데 연간 평균 PM 2.5 피폭량인 12μg/m3(현재의 NAAQS 기준)을 8μg로 줄이면 사망 위험비는 0.958로 감소했다. 입방 미터당 6~12μg 사이의 노출-반응 곡선은 거의 선형으로 나타났다.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PM 2.5 수준의 저감은 인종이나 사회 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고령자에게 이익이 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며 "입방미터당 PM 2.5가 10μg씩 증가하면 사망 위험비는 1.114로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2023-04-20 05:10:00학술

원인 불분명한 과민성대장증후군, 대기오염과 연관성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발병 원인이 불분명한 과민성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과 관련해 대기오염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스탠포드의대 소화기내과 필립 오카포 교수 등이 진행한 IBS와 대기오염도와의 상관성 연구 결과가 3일 임상위장병학회지에 게재됐다(doi.org/10.1016/j.cgh.2022.09.025).대장 근육의 과도한 수축 운동으로 발생하는 IBS는 설사 혹은 변비 등의 배변장애 증상을 가져오는 만성적인 질환이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진 않았다.자료사진연구진은 오염 노출로 인한 국소적 또는 전신적 염증 반응이 장내 미생물 규총이나 점막 상피 세포를 파괴,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보험회사인 Optum의 2009~2014년, 2016~2019년 데이터 중 성인의 소화기 청구 내역 및 우편번호를 통한 지역별 발생률을 식별했다.음이항회귀분(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으로 ▲오존 ▲PM2.5 미만 미세먼지 ▲디젤 배출 ▲음용수 오염도 ▲살충제 ▲산업체의 공기 중 독성물질 배출 ▲교통 혼잡도까지 7개 항목에 걸쳐 지역별 소화기 질병 발병률과이 상관을 조사했다.분석 결과 지역별 IBS 발생률이 두 기간 동안 PM 2.5 미만 미세먼지 및 산업체 독성물질 배출 수치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PM 2.5 미세먼지가 1 마이크로그램/㎥ 증가할수록, 1%의 산업체 독성물질 배출이 늘수록 IBS 발생률은 100 인년당 0.02건씩 늘어났다.교통 혼잡도와 음용수 오염도 IBS 발생률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었다.PM2.5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 정도, 음용수 오염도, 산업체 독성물질 배출은 기능성 소화불량과 연관성이 있었지만 2009~2014년, 2016~2019년 두 기간의 데이터가 일치하진 않았다.각종 오염도와 염증성 장질환(IBD), 호산구성 식도염(EoE) 발생률과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이러한 연관성은 잔류 교란 요인 및 민감도 분석을 위해 광범위한 조정을 거친 이후에도 유지됐다.연구진은 "산업체의 공기 중 독성 물질 배출 및 PM2.5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은 보험에 가입한 캘리포니아 주민 집단에서 더 높은 IBS 발병률을 나타냈다"며 "반면 환경 오염 물질 노출은 이 코호트에서 염증성 장질환, 호산구성 식도염 발생과는 관련이 없었다"고 결론내렸다.
2022-10-04 11:55:02학술

도로변 초미세먼지, 알레르기성 안질환 위험 높인다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가 안구건조증은 물론 알레르기성 안질환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의학적 근거가 처음으로 제시됐다. 은평성모병원 이현수 교수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이현수 교수(안과)팀은 5일 동물실험을 통해 안구가 도로에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PM 2.5, 입경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기존의 안구건조증과는 달리 알레르기성 면역반응이 더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에 의해 알레르기성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면 점액 분비를 담당하는 술잔세포의 기능이 향상되어 이로 인해 이물감, 눈곱 및 분비물 증가, 가려움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안구건조증 및 결막염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세먼지가 환경성안질환의 주요 원인일 것이라는 견해가 많았지만 초미세먼지의 영향과 병리기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진바 없었다. 이현수 교수는 "초미세먼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면 안구건조증은 물론 알레르기결막염을 포함한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초미세먼지로 인한 환경성안질환의 병리기전에 대한 면역학적 규명을 바탕으로 실제 환자의 임상적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4월호에 게재됐다.
2020-06-05 12:00:50학술

미세먼지가 뼈건강에도 영향...골다공증 위험성 첫 확인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대기 오염이 폐암, 호흡기 질환 이외에 골다공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첫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르셀로나 세계 보건 연구소(ISGLOBAL) 소속 오타비오 란자니 교수 등이 진행한 대기 오염과 골밀도 사이의 상관성 연구가 3일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에 게재됐다(doi:10.1001/jamanetworkopen.2019.18504).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와 질이 저하되는 질병이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로 인해 유병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대기 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폐암, 뇌졸중, 호흡기 질환 등에 집중되지만 다른 질병에 대해서는 증거 및 연구가 불충분했다. 연구진들은 대기 오염 노출과 뼈 건강과의 상관성을 살피기 위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인도 남부 28개 마을에서 3717명을 모집해 대기 오염과 뼈 건강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1차 결과는 엑스레이를 통해 뼈 무기질 함량(bone mineral content)를 살펴고 2차는 골밀도로 설정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조리 시 사용한 연료 종류에 대해서도 설문지를 작성했다. 연구진은 이중 에너지 엑스레이 흡수 측정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을 통해 뼈 밀도를 측정하고 요추와 왼쪽 고관절에서 뼈 질량을 측정하는 특수한 유형의 방사선 촬영법을 사용해 뼈 건강을 확인했다. 참가자들은 주변 PM 2.5에 대한 연간 평균 노출은 32.8μg/m3로 세계 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최대 수준(10μg/m3)보다 훨씬 높았다. 참가자의 58%가 요리에 바이오 매스 연료를 사용했다. 결과는 대기 오염, 특히 미세 입자에 대한 노출이 낮은 수준의 뼈 질량과 관련이 있음이 나타났다. 조리 시 바이오 매스 연료를 사용하는 것과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연구진은 "이 연구는 대기 오염과 뼈 건강에 관한 통찰을 제시한다"며 "오염 입자의 흡입이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유발시켜 뼈 질량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0-01-06 12:01:02학술

초미세먼지 위험률 공개…혈관질환·폐암 위험 상승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초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과연 어떠한 질환을 일으키고 얼마만큼 사망률을 높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세먼지 기준인 PM 2.5를 놓고 다중노출모델 분석을 통해 10μg/㎥가 늘어날때 어떤 질환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사망하는지를 분석한 것. 초미세먼지와 사망률과의 연관 관계를 보여준 연구가 나왔다. 아주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정은주 교수가 이끄는 다기관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12년 사이 초미세먼지와 사망률을 다중 분석하고 16일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그 결과를 게재했다(doi.org/10.3346/jkms.2019.34.e311). 연구진은 지금까지 미세먼지와 건강에 대한 연구들이 천식 등 특정 질환으로 제한돼 이뤄진 점을 주목했다. 과연 미세먼지가 어떠한 질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광범위하게 분석된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 지역에서 사망한 31만 1526명의 60세 이상 노인의 의료 데이터와 그간 날짜별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다중노출모델을 통해 분석해 사망률의 상대적 위험성을 도출했다. 다중노출모델이란 하나의 변수에 다른 변수가 개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분석법으로 가령 공기중에 초미세먼지 외에 다른 오염 물질, 또한 사망 이유에 대해 다른 사망 원인 등을 보정을 통해 제외하는 통계적 방법이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가 10μg/㎥ 늘어날 수록 1만명 당 평균 37명이 이로 인한 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적으로 사망률이 1.0037배 증가하는 셈이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다양한 질환들에 영향을 미쳤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혈관 질환(vascular disease)으로 초미세먼지로 인해 1만명 당 81명이 혈관 질환에 걸려 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초미세먼지와 오존으로 인한 각 질환별 사망 위험율 마찬가지로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pulmonary disease)에 걸려 사망한 경우도 1만명 당 86명이나 됐고 1만명 당 27명 꼴로 폐암에 걸려 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초미세먼지는 당뇨병 등 만성 질환에도 영향을 미쳤다. 초미세먼지를 직접적인 이유로 고혈압에 걸린 비율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1만명 당 75명은 당뇨병이 생겨 사망한다는 통계가 나왔다. 연구를 진행한 정은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의 증가가 노인의 사망률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또한 다양한 질환을 통한 사망률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으로 추가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초미세먼지가 증가할 수록 노인의 사망률을 높인다는 결과가 나온 만큼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사망과 이로 인해 가중되는 사회 경제적 부담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제언했다.
2019-12-18 05:45:56학술

의료기기 수입국 ‘캐나다’가 한국을 찾은 이유

메디칼타임즈=정희석 기자 캐나다 생명과학사절단이 한국시장 개척과 유통 파트너 물색을 위해 지난달 25일 방한했다. 사절단은 세계적 명성의 연구소를 비롯해 의료기기·바이오 등 생명과학 인프라가 잘 갖춰진 온타리오주 소재 캐나다 기업 5곳이 참여해 주한캐나다대사관에서 한국기업과의 대리점 및 딜러십 체결을 위한 B2B 미팅을 가졌다. 주목할 것은 온타리오주가 세계 최초의 체외형 심박조율기, 인공각막, 인공심장, 항체 피복 스텐트, 3D 영상검사기술 등이 개발된 캐나다 생명과학산업의 메카라는 점. 의료기기의 약 70%를 수입에 의존하는 캐나다가 온타리오주 기업들이 참여한 사절단을 꾸려 한국시장 진출을 모색한 점은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한국에서는 낯선 캐나다 헬스케어기업들이 어떠한 경쟁력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행사장을 찾았다. 사절단에 참여한 ‘O2 캐나다’(www.O2canada.com)는 공기정화마스크 수출을 위해 한국을 찾은 온타리오주 기업. 이 회사 ‘O2 Curve 1.2’는 교환식 필터형 마스크로 PM 2.5 입자, 먼지, 균, 꽃가루 및 기타 공기 매개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해준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마스크 밀폐부는 사용자 대부분의 얼굴 형태에 잘 맞아 가볍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특히 1회용 필터는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미국 분진마스크 등급 N99 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미세먼지 등 각종 공기오염 물질을 정화한다는 게 회사 측 설명. 사진 왼쪽부터 O2 캐나다 앤드류 딕(Andrew Dick) 부사장과 피터 위트비(Peter Whitby) 대표이사 피터 위트비(Peter Whitby) CEO는 “캐나다 워터루대학에서 3M 제품 등 6개 마스크를 대상으로 공기정화 테스트를 받았다”며 “이 결과 6개 제품 필터 정화는 시험기준을 모두 충족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마스크 이음새 부분으로 침투하는 초미세먼지 필터량 검사에서는 O2 Curve 1.2가 여타 N99 등급 마스크보다 더 우수하다는 결과를 받았다”고 강조했다. 한국 마스크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는 자신감도 내비쳤다. 그는 “O2 Curve 1.2는 일회용 필터를 적용한 ‘프로패셔널’과 2주 정도 사용 가능한 ‘일반용’ 제품으로 구성해 소비자 선택 폭을 넓혔다”고 밝혔다. 더불어 “자석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트랩과 실리콘 재질 이음막은 물론 마스크 착용에 따른 안경이나 고글 착용자 습기 문제를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해결해 사용자 편의성이 뛰어나다”고 장점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실시간 대기오염 레벨과 마스크 필터 사용 기간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O2 캐나다 안드로이드용 앱은 O2 Curve 1.2가 한국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자리를 함께 한 앤드류 딕(Andrew Dick) 부사장이 밝힌 이번 방한 목적은 크게 두 가지. 한국의 대기오염 정도를 살펴보고 시장에서 유통되는 마스크 현황과 한국 판매를 위한 식약처 인증 여부 파악이 첫 번째 미션이었다. 이와 함께 한국에서 제품 유통을 담당할 대리점 또는 딜러십 체결 또한 중요한 목적이었다. 그는 “O2 Curve 1.2 마스크는 이미 미국·캐나다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며 “특히 미국에서는 약 1만곳에 달하는 아울렛을 갖고 있는 유통 채널과 공급을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대기오염이 심각한 중국(청도·상해)·홍콩의 경우 지난해 4월부터 제품 판매가 되고 있다”며 “O2 Curve 1.2 마스크는 공기정화 성능과 디자인 측면에서 강점이 있기 때문에 한국 프리미엄 마스크시장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강조했다.
2019-03-04 00:10:47의료기기·AI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